-6.3 C
Seoul
화요일, 12월 24, 2024

만 평 크기, 벼를 심었을 때 생산량은?

(萬)은 큰 수이다. 화폐의 관점에서는 점심값에 불과하나 수로 보면 그 양이 상당하다. 원룸과 아파트에 거주하는 도시민의 입장에서 만의 크기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반면에 땅을 보고 사는 농부는 온전히 몸으로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소작농이 아닌 자기 소유의 땅을 만 평 가지고 있다면 든든한 뒷배를 가진 것처럼 어디서도 기가 죽지 않는다.

이는 투자의 개념보다 땅이 가진 무한한 베풂의 특성 때문이다. 텃밭만 있어도 굶주림의 많은 부분을 해결할 수 있으니 부지런한 자라면 만 평으로 부의 축적과 되물림이 가능하다.

만평 크기, 벼를 심었을 때 생산량은?

논이 만 평이면 부농일까?

looks_one만 평은 얼마나 클까? – 만 평의 크기는 축구장(2160평) 4개 반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농부들이 사용하는 마지기로 따지면 50마지기에 해당하며, 경복궁과 비교하면 1/13 수준이다. 절대 적은 면적이 아니기에 시골 논밭을 생각했을 때 평야가 있는 호남지대가 아닌 이상 한 필지가 만 평이 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

looks_two만 평에 벼를 심으면 부자가 될까? – 보통 마지기는 200평으로 2인 가족이 1년 동안 먹을 수 있는 면적에서 유래된 것이다. 마지기당 쌀(80kg) 4가마니를 수확할 수 있기에 만 평에 벼를 심으면 약 200가마니가 나온다. 이를 단순하게 현재 소비자가(20kg당 5만 원)로 전부 판매하면 대략 1억 원이지만, 보통 일괄적으로 정곡(도정한 쌀)이 아닌 나락(벼)의 형태로 농협 또는 장사꾼에게 판매하기에 실질적인 매출은 많이 줄어든다. 이 금액에서 기름값, 인건비, 농약값, 기계값, 비료값, 도지값 등을 제하면 순이익이 대략 1,000~1,500만 원 정도이다.

벼농사가 다른 작품에 비해 품이 적게 드는 것은 맞다. 다만, 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농사 자체는 고단함의 연속이다. 대신 정신적 피로도는 적은 것이 장점이다.

농사짓는 땅이 만 평이면 농기계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는 소화할 수 없는 크기이다. 그러나 벼농사만 지으면 면적 대비 이익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정부는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해 면적에 비례하여 일정 금액을 지원해 주는 직불제를 운영하고 있다.

인기 연관글
일간 조회수
주간 베스트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최신 기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