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C
Seoul
토요일, 4월 5, 2025

쌀 1섬, 성인 남자가 들 수 있을까?

민족은 농사의 민족이다. 늘 쌀을 귀하게 여겼고 갓 지은 밥을 좋아했다. 누구나 쌀이 주는 내외적 무게감을 절실히 체감하고 있었다. 그래서 옛부터 힘을 가늠하는 도구로 쌀 가마니를 사용한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야 했던 조상들은 그만큼 근성과 체력이 받쳐줘서 쌀 1섬도 들 수 있을 것 같지만 요즘은 거의 불가능하리라 본다.

쌀 1섬, 성인 남자가 들 수 있을까?

섬 단위의 유래는?

섬은 우리가 흔히 부농을 지칭할 때 부르는’천석꾼’ ‘만석꾼’ 이라는 석(石)에서 왔다. 단, 천석이나 만석의 기준은 쌀이지만 섬은 벼이다. 쌀은 벼를 방앗간에서 찧어서 껍질을 제거한 상태로 원래보다 무게가 줄어든다.

쌀 1섬은 어느 정도 양일까?

석에서 유래한 섬은 벼 두 가마니 분량을 말한다. 벼 한 가마니는 100kg, 도정한 쌀은 72kg으로 계산된다. 이때 석은 200kg이지만 쌀은 80kg을 기준으로 하여 쌀 1섬은 160kg이다. 세 끼를 모두 먹는다고 가정해도 1년은 넉넉하게 먹을 수 있는 양이다. 따라서 운동선수나 헬스인을 제외하고 일반 성인은 혼자서 들 수 없는 무게이다.

 

local_hospital경제Tip : 시대가 변하면서 벼 40kg을 한 포대에 넣어 계산하는 것도 이제는 농업용 톤백마대로 담아서 수매하는 경우로 바뀌고 있다. 보통 포대를 사용하면 운송할 때 일일이 사람의 노동력이 요구되었지만 마대를 사용하면 기계로 옮길 수 있어 일손이 부족한 농촌 환경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Copyright © ramow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인기 연관글
일간 조회수
주간 베스트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오늘의 글

글씨 예쁘게 쓰는법, 악필 교정 3가지 Tip은?

부모는 자신이 낳은 자식을 아무리 멀리 있어도 본능적으로 안다. 그러나 악필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손에서 태어난 글씨라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결국 그들은...

이거 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