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로봇 투자, 🔥중국이 답일까?
인간은 노동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불과 몇 년 전만해도 이 물음에 ‘언젠가는’ 이라는 조건이 붙이고 긍정적인 대답을 내놓았다. 이 대답에 의심을 품는 자는 많지 않았다.
그런데 불과 1~2년 사이에 로봇은 우리 앞에 성큼 다가왔다. 마치 허들을 뛰어넘는 선수처럼 난제로 여겨졌던 문제들이 단숨에 해결되었다. ‘그래도 이건 할 수 없을 거야’에서 ‘할 수 없는 게 있을까’로 관점이 바뀌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이 시간의 간격을 좁히는 데 중국의 로봇 업체들이 상당한 기여를 했다.
중국은 종이, 나침반, 화약, 인쇄술을 개발한 나라이다. 현재 그들이 만들어내는 상품들은 우리의 생각을 뛰어넘는다. 중국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면 로봇 관련주를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현재 중국 로봇 관련주 TOP10을 찾아 정리하였다.
중국 로봇 관련주!!
중국 로봇 TOP10 완전판 대공개!!!
● 주의 – 매출•시가총액•순위•종업원 수는 추정입니다. 사업 분야와 성장 가능성을 유심히 살펴보세요.
🏆 1위 DJI Innovations
➡️ 한국명: 디제이아이 이노베이션
📅 설립: 2006년
💰 매출 (23년): 약 34억 달러
📈 시총: 약 100억 달러 (비상장)
🏢 주요 분야: 드론, 로봇
🚀 성장: 매우 높음
🇨🇳 순위: 1위(드론)
👥 직원: 약 14,000명
● 평가 – ⚡전 세계 드론 시장을 장악함. 후발 주자들이 엄두도 내지 못할 정도임. 초기에는 가성비를 판매하였으나 지금은 수백만 원짜리 드론도 잘 팔림.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굉장히 높음. 넘사벽 드론 기술력, 로봇 시장까지 장악!.
🏆 2위 Beijing Roborock Technology Co., Ltd.
➡️ 한국명: 베이징 로보락 테크놀로지
📅 설립: 2014년
💰 매출 (23년): 약 12.2억 달러
📈 시총: 약 62.2억 달러
🏢 주요 분야: 스마트 청소 로봇
🚀 성장: 매우 높음
🇨🇳 순위: 1위(청소기)
👥 직원: 약 3,000명
● 평가 – 전 세계 로봇 청소기 시장을 먹었음. 한국에서만 매출이 2,000억에 달함. ⚡맵핑 기술이 넘사벽이라서 깐깐한 한국 소비자의 만족도가 굉장히 큼. 하이엔드급은 100만 원이 넘지만 잘 팔림. 조만간 한국 시장 점유율도 50%에 육박할 것 같음.
🏆 3위 Ecovacs Robotics Co., Ltd.
➡️ 한국명: 에코백스 로보틱스
📅 설립: 1998년
💰 매출 (23년): 약 21.7억 달러(추정)
📈 시총: 약 47.7억 달러
🏢 주요 분야: 가정용 로봇 (청소기 등)
🚀 성장: 높음
🇨🇳 순위: 1~2위
👥 직원: 약 8,000명
● 평가 – 가정용 로봇 강자임. 로보락이 시장을 먹는 와중에도 소멸되지 않고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선발주자로서 27년 동안 회사를 운영한 것은 확실한 기술력이 있다는 반증임.
🏆 4위 Siasun Robot & Automation
➡️ 한국명: 시아순 로봇 & 자동화
📅 설립: 2000년
💰 매출 (23년): 약 5.6억 달러
📈 시총: 약 19억 달러
🏢 주요 분야: 산업용 로봇, 자동화 시스템
🚀 성장: 높음
🇨🇳 순위: 상승 중
👥 직원: 약 4,000명
● 평가 – 중국 최대 규모 자체 지식재산권과 로봇 산업화 기지를 보유하고 있음. 친황경 시장인 유럽에도 납품하고 있고 기존에 없던 로봇을 만드는 회사임. 💡창조는 생존의 가장 강력한 무기라고 생각함.
🏆 5위 Guangdong Topstar Technology Co., Ltd.
➡️ 한국명: 광둥 탑스타 테크놀로지
📅 설립: 2007년
💰 매출 (23년): 약 6.4억 달러
📈 시총: 약 22.6억 달러
🏢 주요 분야: 산업용 자동화 장비
🚀 성장: 높음
🇨🇳 순위: 횡보 중
👥 직원: 약 4,500명
● 평가 – 광둥성 최초의 로봇 기업임. 최근 매출과 순이익 감소가 발생했으며 부채 비율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지만 기술력은 있음.
🏆 6위 Haier Robotics
➡️ 한국명: 하이얼 로보틱스
📅 설립: 1984년
💰 매출 (23년): 약 3.8억 달러(추정)
📈 시총: 약 56억 달러
🏢 주요 분야: 가전, 산업 로봇
🚀 성장: 매우 높음
🇨🇳 순위: 진출 중
👥 직원: 약 8,000명
● 평가 – 2023년 전 세계에서 돈을 가장 많이 번 가전 기업은 LG도 아니고 월풀도 아님. 중국의 하이얼임. 최근 하이얼이 산업용 로봇기업을 인수하기 시작했음. 로봇 사업부를 전략적으로 키울 생각을 하고 있음.
🏆 7위 Estun Automation Co., Ltd. (埃斯顿自动化)
➡️ 한국명: 이스툰
📅 설립: 1993년
💰 매출 (23년): 약 0.6억 달러 (추정)
📈 시총: 약 30억 달러 (추정)
🏢 주요 분야: 산업용 로봇, 자동화 핵심 부품
🚀 성장: 높음
🇨🇳 순위: 1~2위(경쟁 중)
👥 직원: 약 3,000명 (추정)
● 평가 – 자체 핵심 부품 기술력을 바탕으로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음. 적극적인 R&D 투자를 통해 🚀성장 잠재력이 높게 평가됨. 중국 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용 로봇 및 핵심 부품 제조 기업임.
🏆 8위 UBTECH Robotics Corp Ltd
➡️ 한국명: 유비테크 로보틱스
📅 설립: 2012년
💰 매출 (23년): 약 0.5억 달러 (추정)
📈 시총: 약 10억 달러 (추정)
🏢 주요 분야: 휴머노이드 로봇, 교육용 로봇
🚀 성장: 높음
🇨🇳 순위: 성장중
👥 직원: 약 2,000명 (추정)
● 평가 –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교육용 로봇 시장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음. 미래 성장 가능성이 주목되는 기업임.
🏆 9위 두봇 (DOBOT, 越疆机器人)
➡️ 한국명: 두봇
📅 설립: 2015년
💰 매출 (23년): 약 1.5억 달러 (추정)
📈 시총: 약 25억 달러 (상장)
🏢 주요 분야: 협동 로봇
🚀 성장: 매우 높음
🇨🇳 순위: 1위(업계)
👥 직원: 약 2,000명 (추정)
● 평가 – 중국 최초의 협동 로봇 상장 기업임.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 모두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임. 결국 로봇은 협력을 기반으로 사용해야 하기에 로봇 시장이 커지면 커질수록 힘을 얻게 됨.
🏆 10위 Agile Robots AG
➡️ 한국명: 애자일
📅 설립: 2018년
💰 매출 (23년): 약 0.3억 달러 (추정)
📈 시총: 약 6억 달러 (추정, 비상장)
🏢 주요 분야: 지능형 로봇 팔, 협동 로봇
🚀 성장: 매우 높음
🇨🇳 순위: 성장 중
👥 직원: 약 800명 (추정)
● 평가 –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경량 로봇 팔과 협동 로봇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업임. 최근 독일 회사까지 인수하며 적극적으로 행동함.
에필로그
로봇은 어디까지 진화할까❓
중국은 공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이다. 정부 지원도 적극적이며 사회적 지위도 높아 젊은 세대들이 적극적으로 취업하려는 분야이다. 한국과 정반대의 상황이다.
끊임없이 인재들이 몰리기에 중국의 로봇 굴기는 성공 가능성이 높다. 눈 부시게 발전하는 AI를 장착한 로봇은 미래에 모든 영역을 대체해 나갈 것이다.
한국도 늦지 않았다. 우리나라 사람은 정서적으로 로봇에 대한 호감도가 높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거부감이 적기에 R&D 예산을 늘리고 공학자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면 분명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로봇 기업이 탄생하리라 생각한다. 그때쯤이면 1가구 1로봇 시대가 열릴 것이다.
● 기술 – 중국 로봇 기술의 현재를 보고 싶으면 유니트리를 보면 돼요. CEO 왕싱싱은 1990년 태생인데, 시진핑이 주최한 민간 부문 정상 회의에 초청받아 참석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