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 C
Seoul
목요일, 4월 3, 2025

1척 길이, 구척은 몇 cm일까?

은 길이의 단위이다. 옛날에 쓰던 단위로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역사를 다루는 소설이나 드라마에서 사물과 인물의 외형적 특징을 묘사할 때 종종 등장하기에 알아두면 내용 파악이 더 쉬울 것이다.

1척 길이, 구척은 몇 cm일까?

일상 속 숨겨진 전통 단위는?

단위 알고 쓰면 생활이 풍요로워져요!
훔(分)
  • 약 3.03cm.
  • 척의 1/10 수준임.
  • 주로 세밀한 길이를 측정할 때 사용함.
자(丈)
  • 약 30.3cm.
  • 사람의 팔꿈치에서 손끝까지의 길이가 기준임.
  • 낚시꾼들이 낚은 고기의 크기를 표현할 때 즐겨 사용함.
척(尺)
  • 📌약 30.3cm.
  • 자와 동일함. 주로 건축에서 사용함.
  • 잘 맞아 떨어지는 상황을 표현하는 ‘척척 맞다‘의 척도 같은 척임.
보(步)
  • 약 131cm.
  • 장년 남자의 보폭을 기준으로 한 거리 단위임.
  • 시대마다 변화를 겪다가 현재의 수치로 정착됨.
길(笠)
  • 약 3.03m.
  • 사람의 몸 크기를 기준으로 만듦.
  •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길도 같은 길임.
간(間)
  • 약 3.3m.
  • 주로 건물의 내부 크기를 논할 때 사용함.
리(里)
  • 약 393.4m.
  • 마을 사이의 거리를 재는 데 사용된 단위임.
  • 십 리도 못 가서 발병나는 거리는 약 4km 정도임.

1척의 길이는?

척은 발의 길이에서 유래된 외국의 피트처럼 사람의 몸 중에서 손가락을 넓게 펼친 길이에서 유래하였다. 1척을 cm로 환산하면 30.303cm이다. 따라서 1미터는 3척이 조금 넘는 길이이다. 초기에는 지금보다 짧은 23cm 정도였지만, 지속적으로 길어져 현재의 수치가 되었다. 주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사용되었다. 또한 척은 전통적인 한국의 길이 단위인 ‘‘와 같기에 혼용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구척장신이라 불린 관우의 키는?

관우는 덩치와 키로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촉나라의 장수이자 18kg에 달하는 청룡언월도를 가볍게 다뤘으며, 구척장신(九尺長身)으로 불렸을 정도로 장신이었다. 실제 관우의 키를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209cm이다. 하늘이 내린 장군임을 키로써 증명한 것과 같다.

관우의 키는 현재 기준으로 몇 cm일까?

현재도 2미터 이상은 어마어마한 수준이기에 당시 기준이면 이름만 들어도 오금이 저렸음이 분명하다. 게다가 얼굴까지 붉고 수염마저 길었으니 사후 그를 두고 관제(關帝), 즉 전쟁의 신으로 신격화하여 존경한 것이 절대 과하지 않은 듯하다.

● 에필로그

척이 ‘길이’라면 무게는 ‘근’이다. 척과 달리 근은 지금도 고기 중량을 계산하는 단위로 정육점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삼겹살 1근은 약 3인분에 해당하는 600g이다.

“도량형보다 더 정감이 있음”

이외에도 농산물이 많은 시골의 오일장에서는 배추, 무, 사과, 감, 고추 등을 근 단위로 거래하는 경우가 많다. 전통적 단위는 좀 더 정감이 있어 📌’‘과 잘 어울린다. 믿고 사고 넉넉하게 주는 세상이 이어지길 바란다.

Copyright © ramow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인기 연관글
일간 조회수
주간 베스트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오늘의 글

글씨 예쁘게 쓰는법, 악필 교정 3가지 Tip은?

부모는 자신이 낳은 자식을 아무리 멀리 있어도 본능적으로 안다. 그러나 악필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손에서 태어난 글씨라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결국 그들은...

이거 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