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C
Seoul
일요일, 4월 20, 2025

탁구 서브 규칙, 올바른 손 위치는?

프롤로그
탁구의 🏓서브, 게임을 바꾸는 비밀 무기

탁구는 수싸움이 치열한 스포츠이다.

그 싸움의 한복판에 서브가 있다. 탁구만큼 다채롭고 현란한 서브 기술을 보유한 종목도 없을 것이다. 이 종목에선 ⛔날선 칼처럼 오랜 시간 갈고 닦은 예리한 서브 하나만 있어도 대역전극이 펼쳐질 수 있다. 이처럼 탁구에서 서브가 미치는 막대하다.

사실상 1점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나비효과가 발생한다. 그래서 규칙이 많다. 프로 경기에서는 절대적으로 지켜야 한다. 심판도 매 서브마다 매의 눈으로 선수들을 본다. 이제부터 탁구 서브 규칙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❶ 

탁구 서브 규칙!!
서브 규칙 7가지 총정리 완전판!

탁구 서브에 관한 규칙의 기본은 ⛔구질 확인에 있다. 따라서 상대편이 구질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게 시작부터 끝까지 공이 보이도록 하는 것을 바탕에 두고 정해졌다. 이외에도 여러 규칙들이 존재한다. 기본 목적만 알고 있으면 의외로 복잡하지 않다.

탁구 깨알 상식!!

1. 역사 🏛️: 탁구는 19세기 후반에 영국에서 유래하여 전 세계로 퍼졌다.
2. 규칙 📜: 탁구는 11점제를 기본으로 하고, 2점 차로 승리해야 한다.
3. 용어 📚: 기본 용어로 ‘포핸드’, ‘백핸드’, ‘스매시’, ‘토핑’, ‘플리크’,’로브’,’니트’,’드라이브’와 같은  것이 있다.
4. 장비 🏓: 탁구 라켓과 탁구공(직경: 40mm. 무게: 2.7g)은 규격이 정해져 있으며, 탁구대 크기도 일정하다.
5. 기술 🏆: 탁구는 팔수록 더 다채로운 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스포츠로, 스핀의 향연이 매번 일어난다.
6. 올림픽 🥇: 탁구는 1988년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금메달은 중국이 독식하고 있다.
7. 건강 💪: 탁구는 빠른 반사 신경과 유연성을 요구하여, 체력과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요약 📝: 탁구는 영국에서 시작됐으나 중국에서 꽃을 피웠다. 온갖 기술로 작은 탁구대에서 더 작은 탁구채로 공을 때리고 막는 스포츠이다. 그래서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체력과 반사 신경을 요구하며, 서브의 구질을 봐야만 그나마 랠리가 가능하다.

탁구 서브 규칙!!

1. 손 ✋: 손은 탁구대보다 높고 뒤쪽에 위치.
2. 탁구공 🏓: 공을 옷이나 신체로 가리지 말 것.
3. 손바닥 👋: 손바닥은 반드시 펼쳐진 상태.
4. 높이 📏: 최소 ⛔16cm 이상 수직으로 높게 토스.
5. 타격 🏐: 정점에서 내려올 때 서브.
6. 점수 🔢: 2점마다 교대, 단 듀스에서는 1점.
7. 코스 🎯: 단식은 모든 코트를 사용하지만 복식은 대각선(오른쪽→왼쪽).

요약 📝: 탁구 서브는 펼친 손바닥 위에 공을 올리고 그대로 높이 띄워, 내려올 때 타격을 가하는 방식이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코트 사용이 달라지고 서브가 교대된다.

⛔서브 규칙이 세부적인 이유는? – 탁구는 엄청난 반응속도를 요구하는 스포츠이다. 따라서 구질에 대한 시각적 정보가 없으면 사실상 랠리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에필로그
중국의 벽을 넘을 수 있을까?

탁구는 중국이 독보적이다.
우리나라 양궁보다 더하다. 현재까지 올림픽 금메달만 35개 이상을 가져갔다. 이는 전체 금메달 중 90%에 육박하는 수치이다. 워낙 탁구를 좋아하고 저변도 넓어 한•일을 제외하면 경쟁이 되지 않는다. 44년 동안 깨지지 않는 벽처럼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결승보다 준결승의 긴장도가 더 높고, 토너먼트에서 중국을 피했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그래도 모든 벽은 깨지지 않겠는가

실제로 벽을 끝까지 두드려 그들이 독식하던 금메달을 가져온 사례가 있다. 그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무려 2개, 제일 많다. 일본도 하나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북한도 1개가 있다. 그러니 언젠가는 다시 정상에 등극하리라 믿는다. 최근에 유망주들이 올라오고 있으니 기대해 봐도 될 것이다.

Copyright © ramow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인기 연관글
일간 조회수
주간 베스트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오늘의 글

이거 알아?